복지&혜택

K패스 카드 발급 신청방법 혜택 총정리

미어캣24 2024. 5. 6. 12:31

지하철과 버스,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( GTX ) 등 대중교통 요금을 돌려주는 K패스 발급이 4월 24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. 

 

K패스는 국토교통부에서 발급하는 카드로 시내마을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GTX등을 월 15회 이상 장기적으로 이용하면, 교통비의 최소 20%를 환급해 주는 제도인데요.

 

K패스의 환급금액, 발급방법, 기후동행카드와 차이점 등을 한번에 총정리 해보았습니다. 참여 카드사별로 혜택이 다르니, 자신의 소비 패턴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
 

 

[ K패스 환급금액 ]

K패스 환급금액은 일반인은 20%, 청년층은 30%, 저소득층은 53% 등 지출한 교통비를 다음달에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. 연간 720회, 월간 60회 한도로 쓸 수 있으며, 연 최대 44만원을 환급해 줍니다.

 

월 15회 이상 이용 한다면, 최대 60회까지 지급됩니다. 예를 들어, 한 달 대중교통비로 7만원을 사용한다면, 연간 일반인은 17만원, 청년층은 25만원, 저소득층은 44만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K패스-환급금액
K패스-환급금액

 

 

 

[ K패스 신청방법 ]

 

K패스 카드는 알뜰교통카드를 업그레이드 한 것으로, 기존 이용자는 앱에서 회원전환 절차만 거치면 됩니다. K패스는 회원대상으로 환급을 하는 제도로, 기존 이용자가 아닌경우에는 K패스 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.

 

11개 카드사 중 원하는 교통카드를 골라 신청한 후, K패스 카드를 받으시면, K패스 앱 또는 K패스 홈페이지(korea-pass.kr) 에 접속하여, 회원가입을 하실 수 있습니다. 

K패스-신청방법

 

카드번호 확인 후, 약관동의, 본인인증, 주민등록번호 입력을 통한 주소지 및 저소득층 유무가 확인되면, 회원가입은 끝이 납니다.

 

K패스-회원가입
K패스-회원가입

 

기존 알뜰교통카드 고객은 알뜰교통카드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K패스 전환 동의만 하면, 기존 알뜰교통카드 그대로 K패스 이용이 가능합니다.

 

회원가입 후 K패스카드를 이용하시면, 계좌입금, 결제대금차감 등 카드사의 지급방식에 따라 환급이 자동으로 이루어 집니다.

K패스-환급방법
K패스-환급방법

 

환급금액은 실시간 확인 되지는 않으며, 대중교통 이용 후, 최대 14일 이후,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
 

 

 

이동 거리와 상관없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가능하고, 지원혜택도 더욱 확대된 K패스 카드 사용으로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여보는 건 어떨까요?

 

보다 상세한 내용은 K패스 홈페이지 (korea-pass.kr)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